메뉴 닫기

숙박업 용어사전

Print Screen
분류항목약어정의해설
총괄숙박업L-Biz.집이 아닌 곳에서 돈을 내고 숙박할 수 있는 부동산을 개발, 홍보, 건설, 자금 조달, 관리 및 운영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개발, 홍보, 자금 조달, 운영권을 부여하는 사업.
출처: Law Insider
손님이 잠을 자고 머물 수 있도록 시설 및 설비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업.
출처: 공중위생관리법
숙박시설L-Prop.구획된 필지와 그 필지의 경계 안에 영구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물, 설비, 집기비품 일체로서, 숙박업 전용으로 사용되는 것.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숙박업 전용으로 사용되는 시설로 요약.
출처: 건축법 시행령
시장-구매자와 판매자가 상품과 서비스의 교환을 위해 모일 수 있는 장소로, 사람들이 직접 만나는 소매점처럼 물리적일 수도 있고, 구매자와 판매자 사이에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이 없는 온라인 시장처럼 가상적일 수도 있음.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숙박시장: 숙박업 재화나 용역이 거래되는 시장
자산시장: 부동산 등 실물 자산이 거래되는 시장
자본시장: 투자 및 금융 상품이 거래되는 시장
유형-숙박시설을 위치, 건물 구성 및 제공되는 서비스 범위에 따라 분류하는 법적 또는 관행적 분류 시스템.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법정 유형은 법정 숙박시설 유형 ↗ 참고, 관행적 유형은 로빈 숙박시설 유형 ↗ 참고.
지역-한 국가에서 행정 구역 또는 사법 관할 구역 등 동일한 특성을 가지고 있거나 알려진 영역을 통칭하여 부르는 말.
출처: Cambridge Dictionary
어떤 기준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공간적 영역을 가리키는 말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구분은 행정구역에 의한 구분.
출처: 두산백과
공급-소비자가 이용할 수 있는 특정 재화나 서비스의 총량을 설명하는 경제 개념으로, 특정 가격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물량 또는 그래프에 표시된 가격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물량을 의미.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공급 물량은 상품의 판매가 가능한 최소 단위 상품의 합계로, 객실 상품의 경우 판매가능객실, 부대 상품의 경우 판매가능좌석을 의미.
수요-재화와 용역을 구매하려는 소비자의 욕구와 그에 대하여 특정 가격을 지불하려는 의지와 관련된 경제 개념으로, 가격 상승은 수요량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가격 하락은 요구량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음.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수요 물량은 상품의 판매된 최소 단위 상품의 합계로, 객실 상품의 경우 판매객실수, 부대 상품의 경우 부대이용객수를 의미.
내수DD툭정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해당 국가 내의 국민, 기업 및 정부에 의한 수요.
출처: Cambridge Dictionary
숙박시설의 경우, 내국인 판매객실수 및 내국인 부대이용객을 의미.
외수ID특정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해당 국가 밖의 국민, 기업 및 정부에 의한 수요.
출처: Cambridge Dictionary
숙박시설의 경우, 외국인 판매객실수 및 외국인 부대이용객을 의미.
가격-어떤 재화나 용역의 거래를 위하여 지불하는 금액.
출처: Cambridge Dictionary
객실의 경우 판매객실당 평균객실숙박료, 부대시설의 경우 부대이용객당 평균부대이용료를 의미.
이익-사업활동에서 창출되는 매출이 해당 활동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비용 및 세금을 초과할 때 실현되는 재정적 이익.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손실-기업이나 조직이 창출하는 매출보다 더 많은 비용을 지출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손해를 보는 상황.
출처: Cambridge Dictionary
명목-발행자가 명시하는 유가증권의 액면 가치로, 주식의 경우 증서에 명시된 주식의 가격, 채권의 경우 만기에 보유자에게 지급되는 금액을 의미.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부동산의 경우 실질 임대료는 무상임대 기간, 임대료 감면, 인테리어 지원금 등의 인센티브를 무시한 임대료, 숙박시설의 경우 판매되지 않은 재고가 고려되지 않은, 판매된 상품만의 가격을 의미.
실질-매도인과 매수인 간에 거래되는 유가증권의 실제 가치로, 주식과 채권의 경우 실질 가치는 매수인이 소유권을 취득하기 위해 지불하는 비용을 의미.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부동산의 경우 실질 임대료는 무상임대 기간, 임대료 감면, 인테리어 지원금 등의 인센티브를 차감한 임대료, 숙박시설의 경우 실질 가격은 판매 여부에 관계없이 판매가능 상품 전체에 대하여 계산된 가격.
수요안정화D-Stab.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크게 변화하지 않고 거의 같은 수준에 머무르기 시작하기까지의 과정.
출처: Cambridge Dictionary
숙박시설 운영 안정화의 첫번째 단계로, 객실가동률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여 크게 변화하지 않게 되기까지의 과정.
가격안정화P-Stab.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가격이 크게 변화하지 않고 거의 같은 수준에 머무르기 시작하기까지의 과정.
출처: Cambridge Dictionary
숙박시설 운영 안정화의 두번째 단계로, 평균객실숙박료의 시장 평균 대비 침투율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여 크게 변화하지 않게 되기까지의 과정.
비용안정화C-Stab.상품과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한 비용이 크게 변화하지 않고 거의 같은 수준에 머무르기 시작하기까지의 과정.
출처: Cambridge Dictionary
숙박시설 운영 안정화의 마지막 단계로, 총매출 대비 총영업이익 비율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여 크게 변화하지 않게 되기까지의 과정.
생애주기LC새로운 제품이 출시되어 성장기, 성숙기 및 정체기를 거쳐 쇠퇴하게 되는 일련의 과정.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생애주기 단계에 따라 숙박시설의 유지보수 및 재투자에 소요되는 지출 규모가 달라짐.
시장주기MC한 국가의 총 경제 활동에서 발견되는 반복적인 변동 유형으로, 많은 경제 활동에서 거의 동시에 발생하는 확장 및 수축으로 구성된 주기.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경제 전반의 순환 주기에 대해서는 경기 순환의 이론들 ↗ 참조. 숙박시장의 경우 통상 판매가능객실당 객실매출을 통해 시장주기 분석.
공급업체Biz.상업, 산업 또는 전문 활동에 종사하는 조직 또는 기업체를 의미하며, 재화나 서비스 등 일종의 경제적 가치를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단일 소유주 또는 운영사가 다른 유형 또는 지역의 숙박시설 3개를 소유 또는 운영하는 경우, 업체수는 1개로 산정.
업소Prop.개인이나 기업이 처분할 수 있는 법적 권리가 부여된 유형 또는 무형의 재산으로, 자동차, 산업 장비, 가구 및 부동산을 들 수 있음.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단일 소유주 또는 운영사가 다른 유형 또는 지역의 숙박시설 3개를 소유 또는 운영하는 경우, 업소수는 3개로 산정.
업장Olt.특정 회사가 생산한 상품과 서비스를 판매하는 해당 회사 소유의 상점.
출처: Cambridge Dictionary
단일 소유주 또는 운영사가 동일 유형 및 지역의 숙박시설 중 일부를 3개의 명칭 또는 브랜드로 운영하는 경우, 업장수는 3개로 산정.
접객부FOH매출 창출 여부에 관계없이 고객에게 개방된 숙박시설의 부분 일체.
출처: Wikipedia
객실 및 부대시설 등의 매출 창출 공간과 로비, 라운지, 주차장 등 숙박시설의 고객들에게 무료로 제공되는 공용시설 포함.
지원부BOH고객에게 공개되지 않은 숙박시설의 부분 일체로, 재화나 용역을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공간.
출처: Wikipedia
일반적으로 고객동선과 분리되어 종사자들만 이용 가능한 공간으로, 주방, 창고, 세탁실, 린넨실, 사무실 등 포함.
객실-숙박시설에서 객실 숙박객의 수면을 위해 제공되는 공간과 이에 부속된 전용 거실 공간.
출처: Law Insider
개보수 등을 위하여 사용이 불가한 객실은 사용이 불가한 기간 동안 객실수에서 제외.
부대시설-레스토랑, 골프, 수영장, 스파, 카지노, 회의 공간 등 숙박시설에서 제공되는 객실 이외의 시설 및 서비스.
출처: STR Glossary
복합건물에 숙박시설이 포함된 경우, 숙박시설 이외의 용도로 활용되면서 숙박시설의 운영사가 직접 운영하는 부분은 부대시설에 포함.
공용시설-건물에서 모든 이용자가 일반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구역으로, 복도, 계단, 세탁실, 휴식 공간, 오락 공간, 커뮤니티 공간, 주차장 및 경계 울타리 등을 포함.
출처: Law Insider
숙박시설에서 객실 또는 부대시설의 속성을 지니고 있으나, 운영사가 제3자에게 임대, 전대 또는 위탁운영하는 업장은 공용면적에 포함.
영업일수Days지정된 기간 동안 숙박시설이 운영했거나 운영되었을 수 있는 모든 날짜의 합계.
출처: Law Insider
좌석-숙박시설에서 식사나 모임을 위해 고객에게 대여되는 이동 가능한 가구 또는 고정 가구.
출처: Law Insider
좌석시간SH고객이 숙박시설의 식음료 영업장 또는 또는 유사한 업장에서 좌석을 점유한 시간.
출처: Lobin
전산 POS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 업소 또는 업장이 있을 경우 분석 목적으로의 활용 제한.
용도지역-토지의 이용 및 건축물의 용도, 건폐율, 용적률, 높이 등을 제한함으로써 토지를 경제적,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공공복리의 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서로 중복되지 않게 결정하는 지역.
출처: 국토계획법
건폐율BCR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대지에 건축물이 둘 이상 있는 경우에는 이들 건축면적의 합계로 한다)의 비율.
출처: 건축법
용적률FAR대지면적에 대한 연면적(대지에 건축물이 둘 이상 있는 경우에는 이들 연면적의 합계)의 비율.
출처: 건축법
대지면적LA필지의 경계 내에 포함된 측량 데이터에 따른 면적, 또는 필지의 경계가 측량에 따라 결정되지 않은 경우 엔지니어가 결정한 필지의 경계 내에 포함된 면적.
출처: Law Insider
복수의 필지에 단일 숙박시설이 건립되어 있거나, 복수의 숙박시설들이 건립되어 단일 운영사에 의해 운영중인 경우, 1개 대지로 산정.
건축면적BA건축물의 외벽(외벽이 없는 경우에는 외곽 부분의 기둥)의 중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수평투영면적.
출처: 건축법 시행령
건물 각 층의 면적이 다를 경우, 면적이 가장 큰 지상층의 면적.
연면적GFA하나의 건축물 각 층의 바닥면적의 합계로 하되, 용적률을 산정할 때에는 지하층 면적과 지상층 주차장 면적은 제외.
출처: 건축법 시행령
복수의 필지에 단일 유형의 복수의 숙박시설들이 건립되어 단일 운영사에 의해 운영중인 경우, 전체 숙박시설의 바닥면적 합계.
비숙박면적NFA복합건물의 경우, 숙박업 이외의 용도로 사용되는 층의 바닥면적 합계.
출처: Lobin
복합건물에 숙박시설이 포함된 경우, 숙박시설 이외의 용도로 사용되면서 숙박시설의 운영사가 직접 운영하지 않는 부분의 바닥면적 합계.
숙박면적LFA객실, 부대시설 및 기타 공용시설을 포함하여 숙박업 전용으로 사용되는 층의 바닥면적 합계.
출처: Lobin
숙박시설 이외의 용도로 사용되는 부분 없이 단일 숙박업체가 전체 건물을 사용하는 경우, 건물연면적과 동일.
객실면적RFA숙박시설에서 객실에 부속된 복도, 계단, 엘리베이터, 린넨 방 등을 포함하여 객실 전용으로 사용되는 층의 바닥면적 합계.
출처: Lobin
객실 운영과 관련한 BOH 중 객실층이 아닌 곳에 별도로 설치된 경우, 객실면적에 포함.
부대면적OFA숙박시설에서 부대시설에 부속된 복도, 계단, 엘리베이터, 주방 등을 포함하여 부대시설 전용으로 사용되는 층의 바닥면적 합계.
출처: Lobin
부대시설 운영과 관련한 BOH 중 부대시설이 위치한 층과 별도로 설치된 경우, 부대면적에 포함.
공용면적PFA숙박시설에서 로비, 주차, 행정 사무소, 기계/전기/배관 공간을 포함하여 수익 창출에 직접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층의 바닥면적 합계.
출처: Lobin
복수의 숙박시설이 하나의 공용시설을 공유하는 경우, 각각의 숙박시설면적에 따라 배분.
판매가능객실RA지정된 기간 동안, 숙박시설에서 판매가능한 객실의 합계로, 하루 동안 이용 가능한 객실수에 영업일수를 곱한 값.
출처: STR Glossary
판매가능객실수 = 객실수 X 영업일수
판매가능좌석SA지정된 기간 동안, 숙박시설 내의 부대시설에서 판매가능한 좌석의 합계로, 하루 동안 이용 가능한 좌석수에 영업일수를 곱한 값.
출처: STR Glossary
판매가능좌석수 = 좌석수 X 영업일수
판매가능좌석시간SHA지정된 기간 동안, 숙박시설 또는 숙박시설 집합의 부대시설에서 판매가 가능한 좌석수의 합계로, 판매가능좌석수에 하루 평균 영업시간을 곱한 값.
출처: STR Glossary
판매가능좌석시간 = 판매가능좌석수 X 일평균 영업시간
수요외국인방문객I-Trav.해외 여행 또는 해외 경유 여행의 일환으로 해당 국가를 여행하는 비거주자 여행자.
출처: UNWTO Glossary
법무부의 출입국·외국인 정책 본부가 작성하는 출입국자및체류외국인통계를 기초로 한 출입국관광통계 사용.
내국인여행객D-Trav.국내 여행 또는 국내 경유 여행의 일환으로 해당 국가를 여행하는 거주자 여행자.
출처: UNWTO Glossary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국민여행조사 및 통계청의 인구총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추정.
객실숙박객-숙박시설에서 객실 상품을 소비하기 위해 돈을 지불한 고객.
출처: Lobin
2인의 숙박객이 1개의 객실에 2일 동안 숙박하는 경우, 객실숙박객은 4로 산정.
판매객실RO지정된 기간 동안, 무료로 제공된 객실을 제외하고 유료로 판매된 객실수의 합계.
출처: STR Glossary
2인의 숙박객이 1개의 객실에 2일 동안 숙박하는 경우, 판매객실수는 2로 산정.
객실가동률OCC지정된 기간 동안, 판매가 가능했던 객실 중 판매된 객실의 비율로, 판매객실수를 판매가능객실수로 나누어 계산.
출처: STR Glossary
객실가동률 = 판매객실수 / 판매가능객실수
판매객실당 숙박객수GPOR지정된 기간 동안의 숙박시설 객실 숙박객수 합계를 해당 숙박객들에게 판매된 객실수 합계로 나눈 값.
출처: STR Glossary
판매객실당 숙박객수 = 객실숙박객수 / 판매객실수
판매가능객실당 숙박객수GPAR지정된 기간 동안의 숙박시설 객실 숙박객수 합계를 해당 숙박시설에서 판매가 가능했던 객실수 합계로 나눈 값.
출처: STR Glossary
판매가능객실당 숙박객수 = 객실숙박객수 / 판매가능객실수
부대이용객-숙박시설에서 객실 이외의 부대시설을 이용하기 위해 돈을 지불한 고객.
출처: Lobin
부대이용객수 = 판매좌석수
판매좌석시간SHO지정된 기간 동안, 숙박시설 또는 숙박시설 집합의 부대시설에서 판매된 좌석시간의 합계.
출처: STR Glossary
2인의 이용객이 4개 좌석 테이블 1개를 2시간 동안 점유하는 경우, 판매좌석시간은 4로 산정.
좌석회전율TO지정된 기간 동안, 부대시설에서 판매가 가능했던 좌석 중 판매된 좌석의 비율로, 부대이용객수를 판매가능좌석수로 나누어 계산.
출처: STR Glossary
좌석회전율 = 부대이용객수 / 판매가능좌석수
숙박객당 이용객수CPG지정된 기간 동안의 숙박시설 부대 이용객수 합계를 객실 숙박객수 합계로 나눈 값.
출처: STR Glossary
숙박객당 이용객수 = 부대이용객수 / 객실숙박객수
단위면적당 이용객수CPSQM지정된 기간 동안, 숙박시설의 부대시설 이용객수를 부대시설 면적으로 나눈 값.
출처: STR Glossary
단위면적당 이용객수 = 부대이용객수 / 부대면적
판매객실당 이용객수CPOR지정된 기간 동안의 숙박시설 부대 이용객수 합계를 해당 숙박시설에서 판매한 객실수 합계로 나눈 값.
출처: STR Glossary
판매객실당 이용객수 = 부대이용객수 / 판매객실수
판매가능객실당 이용객수CPAR지정된 기간 동안의 숙박시설 부대 이용객수 합계를 해당 숙박시설에서 판매가 가능했던 객실수 합계로 나눈 값.
출처: STR Glossary
판매가능객실당 이용객수 = 부대이용객수 / 판매가능객실수
가격평균객실숙박료ADR지정된 기간 동안의 객실 상품 평균 판매 가격으로, 객실매출을 숙박시설에서 판매된 객실수 합계로 나누어 계산.
출처: STR Glossary
평균객실숙박료 = 객실매출 / 판매객실수
숙박객당 객실매출RRevPG지정된 기간 동안의 객실매출을 숙박시설에 투숙했던 객실 숙박객수 합계로 나눈 값.
출처: STR Glossary
숙박객당 객실매출 = 객실매출 / 객실숙박객수
판매가능객실당 객실매출RRevPAR지정된 기간 동안의 객실매출을 숙박시설에서 판매가 가능했던 객실수 합계로 나눈 값.
출처: STR Glossary
판매가능객실당 객실매출 = 객실매출 / 판매가능객실수 = 객실가동률 X 평균객실숙박료
평균부대이용료AC지정된 기간 동안, 부대시설 이용객이 부대시설에서 지출한 평균 금액으로, 부대매출을 부대시설 이용객수 합계로 나눈 값.
출처: Law Insider
평균부대이용료 = 부대매출 / 부대이용객수
판매가능좌석당 부대매출ORevPAS지정된 기간 동안, 부대매출을 숙박시설에서 판매가 가능했던 좌석의 합계로 나눈 값.
출처: STR Glossary
판매가능좌석당 부대매출 = 부대매출 / 판매가능좌석수
판매가능좌석시간당 부대매출ORevPASH지정된 기간 동안의 부대매출을 판매가 가능했던 좌석시간으로 나눈 값.
출처: STR Glossary
판매가능좌석시간당 부대매출 = 부대매출 / 판매가능좌석시간
단위면적당 부대매출ORevPSQM지정된 기간 동안, 부대매출을 숙박시설의 부대시설 면적으로 나눈 값.
출처: STR Glossary
단위면적당 부대매출 = 부대매출 / 부대면적
판매객실당 부대매출ORevPOR지정된 기간 동안의 부대매출을 숙박시설에서 판매한 객실수 합계로 나눈 값.
출처: STR Glossary
판매객실당 부대매출 = 부대매출 / 판매객실수
판매가능객실당 부대매출ORevPAR지정된 기간 동안의 부대매출을 숙박시설에서 판매가 가능했던 객실수 합계로 나눈 값.
출처: STR Glossary
판매가능객실당 부대매출 = 부대매출 / 판매가능객실수
판매가능객실당 총매출TRevPAR지정된 기간 동안의 객실매출과 부대매출을 합산한 총매출을 숙박시설에서 판매가 가능했던 객실수 합계로 나눈 값.
출처: STR Glossary
판매가능객실당 총매출 = 총매출 / 판매가능객실수 = 판매가능객실당 객실매출 + 판매가능객실당 부대매출
가변가격제DP기업이 현재 시장 수요에 따라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 유연한 가격을 설정하는 가격 전략.
출처: Wikipedia
평균객실숙박료는 가변가격제에 따라 달라지는 객실숙박료의 판매객실수에 따른 가중평균.
매출관리RM미시적 시장 차원에서 소비자 행동을 예측하고, 제품 가용성을 최적화하며, 가변가격제를 활용하해 매출을 극대화하고 그에 따라 수익을 극대화하는 기법.
출처: Wikipedia
동일하거나 유사한 품질의 상품이 계절성을 보이는 수요를 대상으로 대량 유통되는 경우에 효과적.
손익손익계산서IS회계 기간 동안 회사의 재무 실적을 보고하는 데 사용되는 3가지 재무제표 중 하나로, 해당 회계 기간 동안 회사의 매출과 비용을 중점적으로 설명.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객실매출RRev.지정된 기간 동안, 숙박시설의 객실 상품을 대여 또는 판매하여 창출된 매출.
출처: STR Glossary
No Show로 인해 사용되지 않은 객실은 판매객실수에 포함되지 않으나, 이로 인한 매출은 객실매출에 포함.
부대매출ORev.지정된 기간 동안, 객실 이외의 부대시설에서 창출된 매출로, 음식, 음료 및 관련 서비스의 판매를 통한 매출.
출처: STR Glossary
총매출TRev.지정된 기간 동안, 객실, 식음료, 스파, 골프, 주차, 임대, 리조트 수수료 및 취소 수수료 등을 포함하여, 숙박시설의 운영을 통해 창출되는 모든 매출의 합계.
출처: STR Glossary
총매출 = 객실매출 + 부대매출
직접비용DirEx.특정 재화나 서비스의 생산과 직접 관련되는 비용으로, 서비스, 제품 또는 부서 등 비용 발생의 대상에 따라 추적 가능.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직접비용 = 객실원가 + 부대원가 + 판매관리비
간접비용IndEx.특정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거나 판매하는 데 직접 관련되지 않는 비용으로, 건물 임대 비용 또는 직원 교육 비용 등 포함.
출처: Cambridge Dictionary
간접비용 = 지급수수료 + 고정지출
객실원가RDEx.프론트 데스크, 하우스키핑, 예약, 벨데스크, 세탁실 직원 인건비 및 복리후생비, 객실 린넨, 청소 용품, 객실 용품, 유니폼 구입비, 프랜차이즈 및 예약 수수료, 여행사 수수료 등 포함.
출처: STR Glossary
객실원가 = 객실 고정비용 + 객실 변동비용
부대원가ODEx.식자재, 인건비 및 복리후생비, 도기 및 식기, 식음료 린넨, 식당 및 주방 용품 구입비, 메뉴 인쇄비, 특별 판촉비 등 포함.
출처: STR Glossary
부대원가 = 부대 고정비용 + 부대 변동비용
판매관리비UndEx.정기적으로 발생하는 재산의 소유, 운영, 수리, 유지 및 관리와 관련 비용으로, 적용 회계기준에 따라서는 일상적인 운영비용에서 제외될 수도 있는 비용.
출처: Law Insider
판매관리비 = 판매관리 고정비용 + 판매관리 변동비용
지급수수료ComFee상품의 판매를 대행하는 자 또는 그러한 업무를 수행하는 시스템에게 대하여 판매 금액에 따라 지급하는 수수료로, 통상 판매관리비에 포함.
출처: Cambridge Dictionary
기본수수료와 성과수수료를 포함하되, 가맹수수료, 예약수수료, 여행사수수료, 카드수수료는 제외되며, 국제숙박업회계기준(USALI)에서는 판매관리비에 포함하지 않음.
기본수수료BMFee위탁운영 계약에 따른 위탁운영 서비스에 대하여 운영사에게 지급되는 수수료의 하나로, 일반적으로 매출 대비 고정 비율로 책정.
출처: Law Insider
성과수수료IMFee위탁운영 계약에 따른 위탁운영 서비스에 대하여 운영사에게 지급되는 수수료의 하나로, 일반적으로 영업이익률 구간에 따라 책정.
출처: Law Insider
일반적으로, 총영업이익, 순영업이익 또는 소유주의 기대수익률 초과분 등의 지표에 대하여 구간별 비율로 설정.
가맹수수료FranFee프랜차이즈 가맹점과 하위 가맹점이 프랜차이즈 계약에 따라 사업에 진출할 권리에 대해 지불해야 하거나 지불해야 하는 수수료.
출처: Law Insider
일반적으로 라이선스 이용료, 브랜드 홍보 분담금, 회원제 프로그램 참가비로 구성.
예약수수료ResFee숙박시설에서 객실 예약에 대해 숙박객에게 부과하는 수수료로, 보증금과 유사하나 구매자가 수수료 마감 전에 예약을 취소하면 환불이 가능하다는 차이가 있음.
출처: Xotel
여행사수수료TAC숙박시설을 대신하여 숙박객을 유치하고 객실 예약을 대행한 대가로 숙박시설이 여행사에 지불하는 수수료로, 온라인여행사 수수료 포함.
출처: RMS Cloud
카드수수료CCC결제, 결제 관련 부대비용 정산, 송금 수수료를 포함하여 신용카드를 통한 결제 처리 업무에 대하여 신용카드사가 부과하는 수수료.
출처: Lobin
고정지출FC임대료, 이자비용, 보험료 등 사업의 성과와 무관하게 고정적으로 지출되는 비용.
출처: Cambridge Dictionary
환산종사자EFTE정규직 및 계약직 직원의 업무시간을 정규직 주 근로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주당 40시간의 근무시간을 기준으로 했을 때 주당 40시간 업무를 하는 직원은 1.0 EFTE, 주당 20시간 업무를 하는 직원은 0.5 EFTE로 산정.
출처: SHRM
인건비LC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급여와 고용주가 지급하는 관련 세금 및 복리후생비의 합계. 인건비는 직접비용과 간접비용으로 나뉘며, 직접비용은 상품의 생산과 판매를 담당하는 근로자의 임금이 포함되며, 간접비용은 생산 및 판매와 직접 관련되지 않는 지원 근로자의 임금 포함.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고정비용FixEx.생산 또는 판매되는 재화나 용역의 수의 증감에 따라 변하지 않는 비용으로, 사업 활동과 무관하게 회사가 지불해야 하며, 간접비용으로써 기업의 재화나 서비스 생산에 소요되지 않음.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정규직 직원의 인건비를 포함하며, 이때 환산종사자의 인건비는 정규직 직원 인건비로 간주.
변동비용VarEx.기업이 생산하거나 판매하는 물량에 비례하여 변화하는 비용으로, 기업의 생산량이나 판매량에 따라 달라지는데,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생산량이 감소함에 따라 감소.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고정비용과 변동비용의 비중에 따라 현금흐름에 대한 매출 변동의 영향에 차이가 발생.
유통비용DistEx.제품의 생산자가 생산 지점에서 최종 소비자의 소비 지점으로 제품을 인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출하는 모든 비용의 합계.
출처: Wall Street Mojo
가맹수수료, 예약수수료, 여행사수수료의 합산으로, 예약수수료 및 여행사수수료는 객실원가에, 가맹수수료는 판매관리비에 포함.
감가상각비DC유형자산의 사용에 따른 마모 비용을 내용연수 기간 동안 배분하는 데 사용되는 회계방법으로, 자산 가치의 얼마가 소진되었는지를 나타냄.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실제 현금으로 지출되지 않는 세법상의 비용으로, 해당 금액은 제한된 현금 자산으로 유보하여 재무상태표에 기록.
대손상각비BDC고객이 파산이나 그 밖의 재무적 문제로 미지급 채무를 이행할 수 없게 되어 채권을 더 이상 회수할 수 없을 경우 인식하는 비용.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통상 판매관리비에 포함되며, 매출 발생시 일부를 대손충당금으로 설정하여 자본감소 항목으로 재무상태표에 기록함으로써, 수익-비용 대응.
자본적지출CapEx.기업이 지붕 수리, 장비 구입 또는 새 공장 건설을 포함하여 재산, 공장, 건물, 기술 또는 장비와 같은 물리적 자산을 취득, 개선 및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금.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자본적지출은 자산의 취득 또는 개보수를 통해 가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회계처리에 있어 비용이 아닌 자산 항목으로 계상.
유보금Rsrv.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비용이나 재정적 의무, 특히 예기치 않게 발생하는 비용을 충족하기 위해 개인이나 기업이 적립한 저축 계좌 또는 기타 유동성이 높은 자산.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자본적지출 유보금의 경우, 통상 감가삭각비에 해당하는 금액을 실제 자본적지출 용도로 유보하도록 공식화한 것으로, 제한된 현금 자산으로 인식.
매출이익DP수익 창출 부서에 귀속되는 이익으로, 발생주의 기준 및 일관된 회계원칙에 따라 결정.
출처: Law Insider
매출이익 = 총매출 - 객실원가 - 부대원가
총영업이익GOP특정 기간에 재화나 용역의 판매를 통하여 얻는 회사의 이익으로, 재화나 용역의 생산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은 고정지출 등의 간접비용이나 금융비용 등의 영업외비용을 차감하기 전의 이익.
출처: Cambridge Dictionary
총영업이익 = 매출이익 - 판매관리비 = 총매출 - 직접비용
법인세전이익EBITDA수익성 판단을 위한 당기순이익의 대체 척도로, 자금 조달 구조에 따른 세금과 부채 비용뿐만 아니라 비현금성 감가상각 및 대손상각상각 비용을 제거함으로써 회사의 운영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금 이익을 나타내는 지표.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법인세전이익 = 총영업이익 - 간접비용
순영업이익NOI수익 창출형 상업용 부동산 투자의 수익성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익 지표로, 해당 부동산의 모든 매출에서 직접비용과 간접비용 등 합리적으로 인정되는 모든 운영비용을 차감한 금액.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순영업이익 = 법인세전이익 - 자본적지출 유보금
당기순이익NI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로, 매출에서 매출원가, 판매관리비, 고정지출, 감가상각비, 이자비용, 세금 및 기타 비용을 차감한 금액.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당기순이익 = 순영업이익 - 감가상각비 + 영업외수익 - 영업외비용 - 법인세
재무재무상태표BS특정 시점에 회사가 가진 것들과 부담하는 것들 및 주주들의 투자 금액에 대한 스냅샷을 제공하는 것으로, 회사의 자산, 부채 및 자본의 변동을 기록하는 재무제표.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비유동자산NCA회계 기간 내에 전체 가치가 실현되지 않을 회사의 장기 투자로, 자산이 곧바로 현금화될 수 없기 때문에 유동적이지 않음.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비유동자산 = 유형자산 + 무형자산
유형자산Tan.A금전적 가치가 유한하고 일반적으로 물리적 형태를 갖는 자산으로, 일부에 대해서는 금전적 가치에 따라 거래될 수 있으나 거래되는 시장에 따라 유동성의 차이가 있음.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유형자산 = 유형 (토지) + 유형 (건물) + 유형 (집기비품)
유형 (토지)Tan.L토지의 최초 가치는 취득원가에 따라 결정되며, 가치가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감가상각되지 않음.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유형 (건물)Tan.B건물의 최초 가치는 취득원가와 자산을 의도된 용도로 사용하는 데 수반되는 원가에 따라 결정되며, 내용연수인 40년에 걸쳐 감가상각.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유형 (집기비품)Tan.F집기비품의 최초 가치는 취득원가에 따라 결정되며, 내용연수인 5년에서 15년에 걸쳐 감가상각.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무형자산Int.A특허, 상표, 저작권, 영업권, 브랜드, 지적재산 등 본질적으로 물리적인 형태를 갖지 않는 자산.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유동자산CA현금, 현금성자산, 매출채권, 재고, 유가증권, 선불부채 등 12개월 내에 일상적인 사업 활동을 통해 판매, 소비, 사용 또는 소진될 것으로 예상되는 자산.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총자산TA개인, 기업 또는 국가가 미래의 이익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하여 소유하거나 통제하는, 경제적 가치가 있는 자원.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비유동자산과 유동자산의 합계로, 숙박시설 연령이 늘어날수록 유형자산의 비중이 감소하는 반면, 무형자산의 비중 증가.
자본Eq.기업을 청산할 때 자산을 모두 청산하여 회사의 부채를 모두 상환한 후 주주에게 돌려주는 금액.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납입자본금PIC보통주 또는 우선주 취득을 위하여 투자자가 기업에 "납입"한 금액으로, 주식의 액면가액과 액면가를 초과하는 금액을 포함.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우선주는 통상 재무상태표에 자본으로 인식되나, 우선주의 상환 또는 전환 조건에 따라 부채로 인식되는 경우도 있음.
이익잉여금ES기업의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손실 차감 후의 차익, 주주에 대한 분배, 자본 계정으로의 전입 금액을 공제한 후의 잔여 이익으로, 배당시 과세되지 않음.
출처: Cornell Legal Encyclopedia
재투자 또는 주주들에 대한 배당 재원으로 활용 가능한 누적 이익금으로, 당기순이익에서 재투자 금액과 배당으로 지급된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의 누적 금액.
자본잉여금CS액면가보다 높은 가격에 매각되는 보통주의 차익으로, 자본 계정이나 이익잉여금으로 분류할 수 없는 자본이나 순자산을 포함.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보유한 자산을 취득원가보다 높은 가격에 매각하는 경우 발생.
자본차익CG자본재 매각시 매각금액이 취득원가보다 높은 경우에 발생하는 차익으로, 매각금액에서 취득원가를 차감하여 계산.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자산이 증가하는 경우, 증가한 자산에서 자본의 기존 잔액과 부채를 차감한 금액으로, 일반적으로 시간이 흐를수록 이익잉여금의 누적을 통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자본차손CL투자나 부동산과 같은 자본재의 가치가 하락할 때 발생하는 손실로, 최초 매입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자산을 매각하는 경우에 실현.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자산이 감소하는 경우, 감소한 자산에서 자본의 기존 잔액과 부채를 차감한 금액으로, 지속적인 영업 성과 부진으로 이익잉여금 소진시 발생.
자본손상IC회사의 시가총액이 재무상태표에 기록된 자본의 총액보다 작은 경우로, 자본이 손상되었다고 판단될 때 현재의 시장가치에 따라 상각.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자본차손이 자본의 장부가치 감소를 의미하는 반면, 자본손상은 자본의 시장가치가 장부가치보다 낮아지는 것을 의미.
부채Lb.개인이나 회사가 상환의 의무를 부담하는 금전으로, 신용대출, 외상매입, 담보대출, 이연수익, 채권, 보증 및 미지급금이 포함.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부채 = 비유동부채 + 유동부채
비유동부채NCL회사의 재무상태표에 기록된 장기 부채로, 회사채, 장기차입금, 미지급채권, 이연법인세부채, 장기임대채무, 연금급여채무 등 12개월 이내에 만기가 도래하지 않는 채무.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유동부채CL12개월 또는 정상적인 영업주기, 즉 기업이 재고 구입 후 매출을 통해 현금으로 전환하는 데 걸리는 시간 내에 만기가 도래하는 단기 채무로, 재고 구입에 대한 매입채무 등 포함.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운전자본WC현금, 매출채권, 고객의 미지급금, 원자재 및 완제품 재고와 같은 유동자산과 매입채무, 단기 차입금과 같은 유동부채의 차이.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숙박업의 운전자본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숙박업 운전자본 ↗ 참고.
개발토지비Lan.C숙박시설 소유주가 숙박시설을 건설할 목적으로 단일 또는 복수의 필지를 매입할 때 발생하는 비용.
출처: Law Insider
건축공사비Con.C건축공사에서 실제로 발생하는 비용 또는 건설공사 도급 업체와의 계약가액으로 정할 수 있으나, 도급 계약서에는 건축공사 비용으로 간주되지 않는 비용 또는 계약 시점에 금액을 확정할 수 없는 비용이 포함될 수 있으며, 계약과 별도로 발주자가 발주하는 별도의 공사 비용도 있을 수 있음.
출처: Designing Buildings
집기비품비FFE.C숙박시설의 소유주 또는 운영사가 가구, 장비 또는 그 밖의 동산을 구입할 때 발생하는 비용 및 이를 운송하거나 설치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
출처: Law Insider
개관준비비Pre.C창업 또는 신사업 준비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으로, 회사가 이미 운영 중인 경우 회계 기준에 따라 일상적인 비용으로 처리되는 비용에 국한.
출처: Smart Capital Mind
초기운전자본IWC숙박시설의 운영 개시에 필요한 운전자본으로, 초기 객실 용품, 식자재, 소매품 재고 구매 비용 및 운전자본으로 필요한 운영 계좌 현금 잔액 포함.
출처: Law Insider
가치할인율DR현금흐름할인(DCF) 분석에서 미래의 현금흐름을 현재 가치로 환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자율.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장기간의 현금흐름을 평가하는 경우 가중평균자본비용(WACC)을 사용하며, 단기간의 현금흐름을 평가하는 경우 자본환원율 사용.
자본환원율Cap%투자 부동산에서 창출될 것으로 기대되는 수익률로, 부동산이 창출할 것으로 예상되는 순영업이익을 부동산의 자산 가치로 나눈 비율로 표시되며, 부동산 투자에 대한 잠재 수익률을 추정하는 데 사용.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실거래를 기준으로 산출되는 자본환원율로, 거래 빈도가 낮아 표본의 규모가 제한적인 자산군의 경우 추정 자본환원율 사용.
추정자본환원율I-Cap%최근 12개월 동안 창출된 순영업이익을 자산 취득 또는 보유를 위해 필요한 자기자본 및 타인자본의 합계로 산출되는 잠재 부동산 가치로 나눈 것.
출처: S&P Global
숙박시설의 추정 자본환원율 관련하여 서울 숙박시설 추정 자본환원율 ↗ 참고.
가중평균자본비용WACC보통주, 우선주, 채권 및 기타 부채 등 모든 출처의 자본에 대한 기업의 평균 자본 비용으로, 기업이 자산 융자를 위해 지불할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금리를 의미.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상이한 위험 허용 한도를 갖는 자본 출처별로 가치를 평가하고 반영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할인율.
내부수익률IRR재무 분석에서 잠재적 투자의 수익성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측정 기준으로, 현금흐름 할인 분석에서 모든 현금흐름의 순 현재가치(NPV)를 0으로 만드는 할인율을 의미.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투자 성과인 이익 배당 및 시세 차익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출된 기대 수익률.
가중평균자산수익률WARA기업의 다양한 유무형 자산에 대한 종합 수익률로, 기업의 자산이 항목별로 고유한 수익률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며, 자산 항목별 고유 수익률은 해당 항목의 운영 위험 및 부채와 자본의 획득 능력에 따라 차별화.
Source: Wikipedia
기업 가치 평가에 있어 무형자산의 가치를 더욱 정밀하게 평가하여 반영하는 할인율.
현재가치PV미래의 현금흐름을 할인율로 할인하여 계산한 미래의 현금 또는 현금흐름의 현재 가치.
Source: Investopia Dictionary
순현재가치NPV일정 기간 동안의 현금유입에 대한 현재가치와 현금유출에 대한 현재가치의 차이.
Source: Investopia Dictionary
순현재가치 = 현재가치 - 취득원가
수익가치IV자산이 창출하는 소득을 기준으로 추정된 자산의 가치로, 창출된 순영업이익을 자본환원율로 나누어 산출.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장부가치BV자산을 보유함에 있어 회사의 재무상태표에 기록되는 비용으로, 총자산에서 누적 감가상각액을 차감하여 계산.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재건축원가RC기업이 부동산, 투자 증권, 유치권 등의 필수 자산을 동일하거나 더 높은 가치의 자산으로 대체하기 위해 현재 지출해야 하는 금액.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경제국내총생산GDP특정 기간 동안 한 국가의 국경 내에서 생산된 모든 완제품과 서비스의 시장 가치 합계.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의 원화표시 명목 국내총생산 연간 통계 사용.
국민총소득GNI특정 기간 동안 한 국가의 거주자가 국내외에서 생산한 모든 완제품 및 서비스의 시장 가치 합계 추정치.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의 원화표시 명목 국민총소득 연간 통계 사용.
지역내총생산GRDP지역의 경제 규모를 측정하는 통계 지료로, 지역 내 모든 거주자가 생산한 부가가치의 합계이며, 국가의 국내총생산과 유사한 개념.
출처: Wikipedia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의 시도별 GRDP 연간 통계 사용.
물가상승률CPI%가격 상승 또는 시간이 지남에 따른 구매력 감소로, 구매력 감소 비율은 일정 기간 동안 선택된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 가격 상승으로 반영되어 나타남.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의 시도별 소비자물가 등락률 연간 통계 사용.
임금상승률WG%물가상승률에 따라 조정된 임금상승률로, 임금상승률의 증가는 물가상승률의 증가를 의미하며, 낮은 임금상승률은 정부의 재정 정책을 통해 인위적인 개입이 필요한 디플레이션을 의미.
출처: Wikipedia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의 시도별 월평균 임금 및 임금상승률 통계 사용.
환율FX한 통화가 다른 통화로 교환되는 비율로, 국가 간 무역 및 화폐 이동에 영향.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의 매매기준율 기준 주요국 통화의 대원화 환율 연간 통계 사용.
기준금리Base%한 국가의 중앙은행이 금융기관들의 대출금리 결정을 위한 지침으로 설정한 금리.
출처: Alpari Glossary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의 한국은행 기준금리 연간 통계 사용.
예금금리Deposit%상업은행 또는 이와 유사한 민간 은행이 요구불, 시간 또는 예금에 대해 지불하는 금리로, 이러한 요율에 적용되는 약관은 국가별로 다르므로 비교 가능성은 제한적.
출처: World Bank Data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의 신규취급액 기준 예금은행 수신금리 연간 통계 사용.
대출금리Lending%일반적으로 민간 부문의 단기 및 중기 자금 조달 요구에 적용되는 은행 금리로, 차주의 신용도 및 자금 조달 목적에 따라 이율이 차등화.
출처: World Bank Data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의 신규취급액 기준 예금은행 대출금리 연간 통계 사용.
금리스프레드%Spread은행이 민간 고객 대출에 부과하는 금리와 중앙은행 또는 저축예금에 지급하는 금리의 차이.
출처: World Bank Data
기준금리, 예금금리, 대출금리 데이터를 기준으로 산출하여 사용.
분석시계열TS특정 기간 동안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일련의 데이터 값들로, 투자에 있어 시계열은 지정된 기간에 대하여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기록된 데이터 값들의 이동을 추적.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시계열 분석은 동일 기준으로 계산된 지표를 대상으로 하며, 숙박시설의 경우 판매가능객실당, 판매객실당, 판매가능좌석당, 이용객당 등의 판매 단위 지표에 적용 가능.
계절성-시계열 데이터가 정기적으로 반복되는 예측 가능한 변화를 갖는 특성으로, 1년간 예측 가능한 변동이나 패턴이 반복되는 경우 계절적이라고 함.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계절성은 수요, 가격, 매출 등이 월별로 차이를 보이는 경우를 의미하며, 1년 범위 내에서 성수기와 비수기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활용.
스냅샷SS특정 시점에 대한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정보 또는 간단한 설명.
출처: Cambridge Dictionary
손익계산서는 회계연도 전체의 매출과 비용의 합계를 기록하는 반면, 재무상태표는 회계 기간 말의 자산, 부채, 자본에 대한 스냅샷을 기록.
연환산p.a.숫자를 연환산 한다는 것은 단기간에 대한 계산 값이나 비율을 연율로 환산하는 것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단기 수익률을 산출하는 투자의 경우, 이자 및 배당금에 대한 연간 수익률을 결정하기 위해 연환산.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2005년 개관하여 영업중인 숙박시설과 2010년 10월 개관한 숙박시설의 2010년 운영실적을 비교할 경우, 동일 조건에서의 비교를 위해 두 숙박시설의 2010년 운영실적을 10~12월까지로 제한하거나 12개월 전체로 연환산하여 비교.
합계-두 개 이상의 숫자 또는 금액이 함께 더해진 경우의 전체 수 또는 금액.
출처: Cambridge Dictionary
평균Avg.두 개 이상의 금액을 합산한 금액을 개수로 나눈 결과.
출처: Cambridge Dictionary
표준편차SDev.평균에 대한 데이터 집합의 분산를 측정하고 분산의 제곱근으로 계산되는 통계량이며, 데이터가 더 많이 분산될수록 표준편차는 증가.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데이터가 평균 ± 2*표준편차 구간 내에 분포할 확률이 95.44%인 경우 정규분포, 이중 평균 0, 표준편차 1인 경우를 표준정규분포라고 함.
증감Var.공통의 속성을 가진 둘 이상의 항목 간의 차이.
출처: Cambridge Dictionary
특정 데이터 항목에 대한 2005년 값이 100이고 2010년 값이 150일 경우, 2005년 대비 2010년의 증감은 150 - 100 = 50.
증감률%Chg.특정 기간 동안의 특정 변수가 보이는 증감을 백분율로 표시한 값.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특정 데이터 항목에 대한 2005년 값이 100이고 2010년 값이 150일 경우, 2005년 대비 2010년의 증감률은 {(150 - 100) / 100} * 100 = 50%.
연평균증감률CAGR투자 기간 동안, 각 기간이 끝날 때 이익이 재투자된다고 가정할 경우, 최초 잔액에서 최종 잔액으로 증가하는 데 필요한 기간 단위 평균 수익률.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복리법에 따른 단위 기간의 증감률로, 특정 데이터 항목에 대한 2005년 값이 100이고 2010년 값이 150일 경우, 2005년에서 2010년까지의 연평균증감률은 8%.
인덱스Idx.어떤 것의 과거 가치 또는 확정된 기준 대비 현재 가치를 측정하는 시스템.
출처: Cambridge Dictionary
인덱스의 경우 특정 지표의 통시적 및 공시적 변화 전체에 적용될 수 있으나, 로빈의 경우 통시적 변화, 즉 시계열 변동량 측정에 국한.
침투율Pen.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전체 시장에 대비하여 특정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소비량 측정 지표.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시계열 변동량 축정에 국한된 인덱스와 구분하여, 공시적 변동량 측정, 즉 비교 대상 집단에 대한 상대적 포지셔닝 측정에 사용.
점유율-한 산업에서 특정 기업이 창출한 공급, 수요 또는 매출의 비율로, 같은 기간 동안 회사의 공급, 수요 또는 매출을 해당 산업의 총 공급, 수요 또는 매출로 나누어 계산.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일반적으로, 공정점유율(fair share)은 공급 물량의 점유율, 시장점유율(market share)은 수요 물량의 점유율을 측정하는 척도로 활용.
월간MTM한 달 동안의 재무 성과를 이전 달과 비교하는 데 사용되는 척도.
출처: Cambridge Dictionary
계절성을 갖지 않는 통계 지표의 최근 동향을 월단위로 분석하는 경우, 월간 증감률을 통해 판단.
직전12개월누계TTM기업의 실적 데이터에 대한 지난 12개월 연속 재무 수치를 보고하는 데 사용되는 척도로, 해당 12개월이 회계연도 종료 기간과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음.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통계 지표를 가장 최근의 데이터에 기반한 연환산 기준으로 분석하는 경우, 직전12개월누계 증감률을 통해 판단.
전년동기대비YOY2개 이상의 측정 가능한 재무적 지표를 연환산 기준으로 비교하기 위해 사용되는 척도로, YOY 성과를 관찰하여 기업의 재무 성과에 대한 개선, 정체, 악화 여부를 측정.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통계 지표의 최근 동향을 계절성과 무관하게 연환산 기준으로 분석하는 경우,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을 통해 판단.
연초누계YTD역년 또는 회계 연도의 첫 날부터 현재 날짜까지의 기간으로, 이 기간에 대한 정보는 최근의 비즈니스 동향을 분석하거나 동종 업계의 경쟁업체와 성과를 비교하는 데 사용.
출처: Investopia Dictionary
계절성이 두드러진 통계 지표의 최근 동향을 연환산 기준으로 분석하는 경우, 연초누계의 증감률을 통해 판단.
업소당PP선택된 시장에 속한 업소수 합계로 나누어 계산한 값.
출처: STR Glossary
업소당 평균 손익계산서 또는 재무상태표 등에 활용되나, 업소간 시설구성 등에 차이가 클 경우, 유의성이 제한됨.
객실당PR선택된 시장 또는 업소에 속한 객실수 합계로 나누어 계산한 값.
출처: STR Glossary
동일 지역 및 유형의 숙박시설들을 판매 단위 기준으로 판단하는 척도로, 객실과 부대시설의 구성에 차이가 클 경우, 유의성이 제한됨.
판매가능객실당PAR선택된 시장 또는 업소에서 판매가 가능했던 객실수 합계로 나누어 계산한 값.
출처: STR Glossary
업소 또는 업장의 매출 또는 비용이 객실 공급 물량에 종속되어 발생하는 경우, 이를 판단하는 척도.
판매객실당POR선택된 시장 또는 업소에서 판매했던 객실수 합계로 나누어 계산한 값.
출처: STR Glossary
업소 또는 업장의 매출 또는 비용이 객실 수요 물량에 종속되어 발생하는 경우, 이를 판단하는 척도.
숙박객당PG선택된 시장 또는 업소에서 흡수했던 객실 숙박객수 합계로 나누어 계산한 값.
출처: STR Glossary
숙박객수에 따라 객실 판매 가격이 책정되거나 1일 미만 단위로 객실이 판매되는 경우, 실제 판매 가격을 산출하기 위한 척도.
좌석당PS선택된 시장 또는 업소에 속한 부대시설 좌석수 합계로 나누어 계산한 값.
출처: STR Glossary
업소 또는 업장의 매출 또는 비용이 부대시설 공급 물량에 종속되어 발생하는 경우, 이를 판단하는 척도로, 영업일수 및 영업시간에 따른 차이가 없는 지표 분석에 사용.
판매가능좌석당PAS선택된 시장 또는 업소에서 판매가 가능했던 좌석수 합계로 나누어 계산한 값.
출처: STR Glossary
업소 또는 업장의 매출 또는 비용이 부대시설 공급 물량에 종속되어 발생하는 경우, 이를 판단하는 척도로, 영업일수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영업시간에 따른 차이가 없는 지표 분석에 사용.
판매가능좌석시간당PASH선택된 시장 또는 업소에서 판매가 가능했던 좌석시간 합계로 나누어 계산한 값.
출처: STR Glossary
업소 또는 업장의 매출 또는 비용이 부대시설 공급 물량에 종속되어 발생하는 경우, 이를 판단하는 척도로, 영영업일수 및 업시간에 따른 차이가 있는 지표 분석에 사용.
이용객당PC선택된 시장 또는 업소에서 흡수했던 부대 이용객수 합계로 나누어 계산한 값.
출처: STR Glossary
업소 또는 업장의 매출 또는 비용이 부대시설 수요 물량에 종속되어 발생하는 경우, 이를 판단하는 척도.
단위면적당PSQM선택된 시장 또는 업소에 속한 시설면적 합계로 나누어 계산한 값.
출처: STR Glossary
업소 또는 업장의 매출 또는 비용이 업장 단위면적에 종속되어 발생하는 경우, 이를 판단하는 척도.
종사자당PEFTE선택된 시장 또는 업소에 속한 종사자수 합계로 나누어 계산한 값.
출처: STR Glossary
종사자당 생산성 및 효율성 등을 판단하여, 인력 규모의 적정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
경쟁자산-대상 숙박시설과 직간접적으로 경쟁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합리적인 대체재로 기능하는 숙박시설.
출처: Law Insider
주어진 시장에서 동일한 수요군을 두고 직접적으로 경쟁 관계에 있는 숙박시설로, 시설구성 및 운영실적이 유사한 경우.
경쟁자산군-동일한 시장에서 동일한 종류의 사업을 두고 특정 숙박시설과 경쟁하는 경쟁자산들의 집합으로, 특정 숙박시설의 성과를 경쟁자산들에 대비하여 벤치마킹할 목적으로 사용.
출처: STR Glossary
주어진 시장에서 시설구성 및 운영실적 등이 유사한 경쟁자산들을 특정할 수 있을 경우, 가장 정확한 벤치마킹 기준.
운영효율성O-Eff.재화와 용역을 생산하는 데 있어 직접비용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척도로, 총영업이익을 총매출로 나눈 값.
출처: Lobin
운영효율성 = 총영업이익 / 총매출
자산효율성A-Eff.재화와 용역을 생산하는 데 있어 간접비용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척도로, 순영업이익을 총영업이익으로 나눈 값.
출처: Lobin
자산효율성 = 순영업이익 / 총영업이익

‘정의’는 STR Glossary, UNWTO Glossary, RMS Cloud, Xotel, Investopia Dictionary, World Bank Data, S&P Global, Wall Street Mojo, Smart Capital Mind, Alpari Glossary, Law Insider, Cornell Legal Encyclopedia, SHRM, Designing Buildings, Cambridge Dictionary, Wikipedia의 내용을 기반으로 숙박업 관행에 맞추어 편집한 것이며, ‘해설’은 로빈의 집계 기준 및 우리나라 숙박업 관련 법령 및 관행에 맞추어 추가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