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 보고서 > 우리나라 숙박시장 2024 : 광주

우리나라 숙박시장 2024 : 광주

2024년 광주에서는 501㎢의 면적에 1,409천명의 인구가 거주했고, 557개의 업소가 평균 359일 동안 매일 14,560실의 객실을 공급했습니다. 이중, 33.3%가 평균 85,295원에 판매되었고, 판매실당 평균 1.9명이 투숙했습니다.
목차

2024
광주
전국 대비
면적 (㎢)
501
0.5%
인구 (명)
1,409천
2.8%
지역내총생산 (원)
55,071십억
2.2%
업소수
557
0.9%
객실수
14,560
1.9%
객실가동률
33.3%
50.1%
실당숙박객수 (명)
1.9
88.3%
ADR (원)
85,295
76.2%
RevPAR (원)
28,386
38.2%
* 지역내총생산은 국내총생산 2024년 성장률 기반으로 추정.

1. 공급
2024년 광주는 전국 숙박상품의 1.9%를 공급했고, 이중 여관이 81.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업소 평균연령은 전국 평균의 173.7%으로 공급의 장기적 안정성이 우수했고, 평균영업일수는 전국 평균의 100.9%로 공급의 단기적 안정성이 양호했습니다. 평균객실수는 전국 평균의 205.9%로 영세화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① 업소수
2024년 광주의 업소수는 총 557개로 2023년 대비 0.5% 감소했으며, 이중 여인숙이 7.3%로 가장 큰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지난 5년 동안 광주의 업소수는 연평균 2.0% 감소해왔고, 여인숙은 연평균 7.1% 감소해왔습니다.
2024년 광주의 업소수는 전국 59,619개의 0.9%였고, 이중 여관이 79.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② 평균연령*
2024년 광주의 업소 평균연령은 22.6년으로 전국 평균의 173.7% 수준이었는데, 평균연령 23.9년의 여관이 업소수의 79.4%를 차지한 데 기인합니다. 광주는 공급의 장기적 안정성이 우수한 숙박시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③ 객실수
2024년 광주의 객실수는 총 14,560실로 2023년 대비 2.7% 증가했으며, 이중 호스텔이 300.0%로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지난 5년 동안 광주의 객실수는 연평균 1.0% 감소해왔고, 호스텔은 연평균 41.4% 증가해왔습니다.
2024년 광주의 객실수는 전국 756,965실의 1.9%였고, 이중 여관이 80.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④ 평균객실수*
2024년 광주의 업소당 평균객실수는 26실로 전국 평균의 205.9% 수준이었고, 지난 5년 동안 연평균 1.1% 증가해왔습니다. 광주는 다른 지역에 비해 영세화가 제한적인 숙박시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⑤ 판매가능객실수*
2024년 광주의 판매가능객실수는 총 5,222천실로 2023년 대비 2.7% 증가했으며, 이중 호스텔이 282.2%로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지난 5년 동안 광주 전체로 연평균 0.8% 감소해왔고, 호스텔은 연평균 39.7% 증가해왔습니다.
2024년 광주의 판매가능객실수는 전국 268,936천실의 1.9%였고, 여관이 81.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⑥ 평균영업일수*
2024년 광주의 업소당 평균영업일수는 359일로 전국 평균의 100.9% 수준이었습니다. 이는 전국 평균과 유사한 수준으로, 개폐업률이 전국 평균 수준임을 의미합니다. 광주는 공급의 단기적 안정성이 양호한 숙박시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수요
2024년 광주는 전국 판매 물량의 1.0%를 차지했고, 이중 여관이 74.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출신 및 목적별로는 내국인 관광 판매 물량이 15.0%로 가장 크게 증가했습니다. 실당숙박객수는 전국 평균의 88.3%로 개인 및 커플 단위 숙박객이 수요의 주축을 형성했고, 객실가동률은 33.3%로 전국 평균의 50.1%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3,283
① 출신 및 목적별 숙박객수*
2024년 광주 숙박객은 총 3,283천명으로 2023년 대비 5.6% 증가했으며, 외국인 기타 숙박객이 14.5%로 가장 크게 증가했습니다. 지난 5년 동안 광주 숙박객은 연평균 8.3% 증가해왔고, 외국인 기타 숙박객은 연평균 24.3% 증가해왔습니다.
2024년 광주 숙박객은 전국 381,754천명의 0.9%였고, 이중 내국인 관광 숙박객이 88.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3,283
② 업소 유형별 숙박객수*
2024년 광주에서는 생활숙박 숙박객이 416.6%로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고, 여인숙 숙박객이 9.1%로 가장 큰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지난 5년 동안 생활숙박 숙박객은 연평균 58.5% 증가해왔고, 여인숙 숙박객은 연평균 3.3% 감소해왔습니다.
2024년 광주에서는 여관 숙박객이 73.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관광호텔 숙박객이 12.8%로 뒤를 이었습니다.
③ 실당숙박객수*
2024년 광주의 실당숙박객은 1.9명으로 전국 평균의 88.3% 수준이었습니다. 이는 전국 평균을 하회하는 수준으로, 개인 및 커플 단위 숙박객이 주축 수요를 형성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즉, 광주는 수요의 계절성이 완만하거나 낮게 나타날 수 있는 숙박시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738
④ 출신 및 목적별 판매객실수*
2024년 광주에서는 총 1,738천실이 판매되어 2023년 대비 10.5% 증가했으며, 내국인 관광 물량이 15.0%로 가장 크게 증가했습니다. 지난 5년 동안 광주 전체로 연평균 0.8% 감소해왔고, 내국인 관광 물량은 연평균 10.6% 증가해왔습니다.
2024년 광주 판매 물량은 전국 178,497천실의 1.0%였고, 내국인 관광 물량이 91.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1,738
⑤ 업소 유형별 판매객실수*
2024년 광주에서는 생활숙박 판매객실수가 483.1%로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고, 여인숙의 경우 11.2%로 가장 큰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지난 5년 동안 생활숙박 판매객실수는 연평균 59.3% 증가해왔고, 여인숙의 경우 연평균 6.3% 감소해왔습니다.
2024년 광주에서는 여관 판매 물량이 74.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관광호텔이 13.8%로 뒤를 이었습니다.
⑥ 객실가동률*
2024년 광주의 객실가동률은 33.3%로 2023년 대비 7.6% 증가했고, 5.1% 증가한 전국 평균의 50.1%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유형별로 보면 생활숙박이 52.7%로 가장 높은 객실가동률을 보였습니다.

3. 가격
2024년 광주는 전국 객실매출의 0.7%를 차지했고, 이중 여관이 69.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명목 가격인 ADR은 전국 평균의 76.2%인 85,295원이었고, 관광호텔에서 119,249원으로 가장 높았습니다. 실질 가격인 RevPAR는 전국 평균의 38.2%인 28,386원이었고, 관광호텔에서 58,441원으로 가장 높았습니다.
① 객실매출
2024년 광주의 객실매출은 총 148,225백만원으로 2023년 대비 20.9% 증가했으며, 이중 생활숙박이 542.3%로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지난 5년 동안 광주 전체로 연평균 30.4% 증가해왔고, 생활숙박은 연평균 64.2% 증가해왔습니다.
2024년 광주의 객실매출은 전국 19,988,062백만원의 0.7%였고, 여관이 69.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② ADR*
2024년 광주의 ADR은 85,295원으로 2023년 대비 9.4% 증가했고, 전국 평균의 76.2%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유형별로는 관광호텔에서 119,249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여인숙에서 48,207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습니다.
지난 5년 동안 37.1%의 변동성을 보인 광주의 ADR은 12.5%의 변동성을 보인 전국 평균보다 낮은 안정성을 보였습니다.
③ RevPAR*
2024년 광주의 RevPAR는 28,386원으로 2023년 대비 17.7% 증가했고, 전국 평균의 38.2%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유형별로는 관광호텔에서 58,441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여인숙에서 10,801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습니다.
2024년 객실가동률과 ADR이 각각 전국 평균 대비 50.1% 및 76.2% 수준으로 동시에 저조한 실적을 기록하면서, RevPAR는 전국 평균 대비 38.2%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4. 결론
기회 요인: 투자의 경우 규모가 영세하고 판매 실적이 저조한 농어촌민박의 리모델링 및 클러스터링을 통한 실적 개선의 기회가 존재하며, 운영의 경우 개인 및 커플 단위 수요 비중이 큰 여인숙의 수요 구성 다변화를 통한 ADR 개선 기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위협 요인: 투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규모가 영세하고 판매 실적이 저조한 농어촌민박의 부실화 위험이 존재하며, 운영의 경우 코로나 이후 내국인 수요 회복이 제한적인 반면 외국인 수요 비중의 확대 추세를 보인 호스텔의 변동성 증가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데이터 대시보드가 광주 숙박시장의 모든 것을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 주석
  1. 평균연령 = 연령 합계 ÷ 업소수. 특정 지역, 유형 및 경쟁업소들의 연령 합계를 업소수로 나누어 공급의 장기적 안정성 측정. 업소 생애주기가 길수록 평균연령이 높음. 
  2. 평균객실수 = 객실수 합계 ÷ 업소수. 특정 지역, 유형 및 경쟁업소들의 객실수 합계를 업소수로 나누어 해당 그룹에 포함되는 숙박업소의 영세성 측정.
  3. 판매가능객실수 = 객실수 × 영업일수. 통상 하루 단위로 판매되는 숙박상품의 공급 물량.
  4. 평균영업일수 = 영업일수 합계 ÷ 업소수 = 판매가능객실수 ÷ 객실수. 특정 지역, 유형 및 경쟁업소들의 영업일수 합계를 업소수로 나누어 공급의 단기적 안정성 측정. 개폐업이 많을수록 평균영업일수가 짧음.
  5. 숙박객수: 통상 하루 단위로 판매되는 숙박상품의 수요 물량. 2명이 1개의 객실에 1일 동안 투숙하거나, 1명이 1개의 객실에 2일 동안 투숙하는 경우, 숙박객수는 모두 2명.
  6. 실당숙박객수 = 숙박객수 ÷ 판매객실수. 특정 지역, 유형 및 경쟁업소들의 숙박객수 합계를 판매객실수 합계로 나누어 수요 구성 추정. 위 숙박객수 사례에서 실당숙박객수는 각각 2명 및 1명.
  7. 판매객실수: 통상 하루 단위로 판매되는 숙박상품의 판매 물량. 위 숙박객수 사례에서 판매객실수는 각각 1실 및 2실.
  8. 객실가동률 = (판매객실수 ÷ 판매가능객실수) × 100. 숙박상품의 공급 물량 대비 판매 물량의 비율. 상품 경쟁력 및 가격 적정성 등에 대한 측정 지표.
  9. ADR = 객실매출 ÷ 판매객실수. 통상 하루 단위로 판매되는 숙박상품의 명목 가격.
  10. RevPAR = 객실매출 ÷ 판매가능객실수 = ADR × 객실가동률. 통상 하루 단위로 판매되는 숙박상품의 실질 가격.
  11. 변동성 = (표준편차 ÷ 평균) × 100. 특정 기간 해당 지표의 변동성을 일률적으로 측정 하기 위한 지표의 하나.
* 자료출처
  1. 통계청 (KOSIS): 면적, 인구, 지역내총생산.
  2. 로빈 데이터베이스: 업소수, 업소연령, 객실수, 판매가능객실수, 숙박객수, 판매객실수, 객실매출.
※ 로빈 데이터베이스는 다양한 출처로부터 수집된 통계를 기반으로 로빈컴퍼니의 자체 개발 알고리즘을 통해 추정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가공 방법 및 절차는 데이터 프로세싱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Lobin Co. All rights reserved.

위로 스크롤
이 양식을 작성하려면 브라우저에서 JavaScript를 활성화하십시오.
Step 1 of 2

데이터 대시보드 2024 이용신청

데이터 대시보드 2024는 2005년부터 2024년까지 전국 및 17개 시도의 숙박업소 유형별 상세 데이터를 Power BI 대시보드로 시각화하여 제공합니다.

※ 이용기간 중 2025년 데이터가 업데이트되는 경우에도, 이용기한까지 추가 과금 없이 데이터 대시보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

  • GDP: GDP, Current $US (World Bank Open Data)
  • 업소수: Compendium of Tourism Statistics (UNWTO), 숙박업 현황 (행정안전부)
  • 객실수: Compendium of Tourism Statistics (UNWTO), 숙박업 현황 (행정안전부)
  • 숙박산업 GDP: Value Added by Industry (BEA), National Accounts (Cabinet Office), GDP of Indonesia (BPS), 경제활동별 GDP 및 GNI (한국은행), 경제총조사 (통계청)
  • 기간: 2017-2021

※ 우리나라의 경우 농어촌민박 및 도시민박을 제외한 일반 및 생활 숙박업소들이 포함되며, 비교 대상 국가는 미국 및 아시아 주요 국가들 중 객실수 통계에 전체 숙박업소 유형이 포함되고 숙박산업의 GDP 기여도 통계 확보가 가능한 국가들로 한정.

자료출처

  • 인구수: Population, Total (World Bank Open Data)
  • GDP: GDP, Current $US (World Bank Open Data)
  • 객실수: Compendium of Tourism Statistics (UNWTO), 숙박업 현황 (행정안전부)
  • 숙박산업 GDP: Value Added by Industry (BEA), National Accounts (Cabinet Office), GDP of Indonesia (BPS), 경제활동별 GDP 및 GNI (한국은행), 경제총조사 (통계청)
  • 기간: 2017-2021

※ 우리나라의 경우 농어촌민박 및 도시민박을 제외한 일반 및 생활 숙박업소들이 포함되며, 비교 대상 국가는 미국 및 아시아 주요 국가들 중 객실수 통계에 전체 숙박업소 유형이 포함되고 숙박산업의 GDP 기여도 통계 확보가 가능한 국가들로 한정.

서비스 준비중입니다.

1:1 문의
이 양식을 작성하려면 브라우저에서 JavaScript를 활성화하십시오.

※ 로빈컴퍼니 및 제3자의 명예 손상 또는 업무 방해를 목적으로 하거나, 외설적, 폭력적 또는 로빈컴퍼니의 업무와 무관한 내용을 포함하는 메세지는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차단되며, 관리자에게 전달되지 않습니다.

자료출처

  • 한국: 숙박업 현황 (행정안전부), 관광숙박업 등록현황 (문화체육관광부)
  • 미국: Census Database (STR)
  • 기간: 2021년 말 기준

※ 우리나라의 경우 농어촌민박 및 도시빈박을 제외한 일반 및 생활 숙박업소가 포함되며, 공통적으로 숙박업소들의 개업일부터 폐업일 또는 2020년 12월 31일까지 기준으로 생애주기를 산출하였고, 동일 항목에 대한 결과가 출처에 따라 다른 경우 알고리즘에 의한 보정치 사용.

자료출처

  • 한국: 숙박업 현황 (행정안전부), 관광숙박업 등록현황 (문화체육관광부), 경제총조사 (통계청), 호텔업 운영현황 (한국호텔업협회), 전자공시시스템 (금융감독원), Trends Report (STR)
  • 미국: Compendium of Tourism Statistics (UNWTO), Census Database (STR), Trends Report (STR)
  • 기간: 2005-2021

※ 우리나라의 경우 농어촌민박 및 도시민박을 제외한 일반 및 생활 숙박업소가 포함되며, 공통적으로 전체 숙박업소 수 대비 매출 데이터의 실명 또는 익명 확보가 가능한 개별 숙박업소 수의 비율로 가시성을 산출하였고, 동일 항목에 대한 결과가 출처에 따라 다른 경우 알고리즘에 의한 보정치 사용.

자료출처

  • 숙박객(한국): 국민여행조사 (문화체육관광부), 외래관광객조사 (문화체육관광부), 호텔업 운영현황 (한국호텔업협회)
  • 객실수(한국): 숙박업 현황 (행정안전부), 관광숙박업 등록현황 (문화체육관광부)
  • 숙박객(미국): Compendium of Tourism Statistics (UNWTO), Trends Report (STR)
  • 객실수(미국): Compendium of Tourism Statistics (UNWTO), Census Database (STR)
  • 기간: 2005-2020

※ 우리나라의 경우 농어촌민박 및 도시민박을 제외한 일반 및 생활 숙박업소를 포함하며, 공통적으로 동일 항목에 대한 결과가 출처에 따라 다른 경우 알고리즘에 의한 보정치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