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전남
전국 대비
면적 (㎢)
12,362
12.3%
인구 (명)
1,792천
3.5%
지역내총생산 (원)
104,170십억
4.1%
업소수
5,051
8.5%
객실수
49,480
6.5%
객실가동률
62.9%
94.7%
실당숙박객수 (명)
2.4
110.2%
ADR (원)
151,655
135.4%
RevPAR (원)
95,370
128.3%
* 지역내총생산은 국내총생산 2024년 성장률 기반으로 추정.
1. 공급
2024년 전남은 전국 숙박상품의 6.6%를 공급했고, 이중 여관이 53.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업소 평균연령은 전국 평균의 93.7%으로 공급의 장기적 안정성이 취약했고, 평균영업일수는 전국 평균의 100.9%로 공급의 단기적 안정성이 양호했습니다. 평균객실수는 전국 평균의 77.2%로 영세화가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① 업소수
2024년 전남의 업소수는 총 5,051개로 2023년 대비 2.2% 증가했으며, 이중 기타숙박이 9.7%로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지난 5년 동안 전남의 업소수는 연평균 1.6% 증가해왔고, 기타숙박은 연평균 18.9% 증가해왔습니다.
2024년 전남의 업소수는 전국 59,619개의 8.5%였고, 이중 농어촌민박이 66.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② 평균연령*
2024년 전남의 업소 평균연령은 12.2년으로 전국 평균의 93.7% 수준이었는데, 평균연령 7.8년의 농어촌민박이 업소수의 66.6%를 차지한 데 기인합니다. 전남은 공급의 장기적 안정성이 취약한 숙박시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③ 객실수
2024년 전남의 객실수는 총 49,480실로 2023년 대비 0.6% 증가했으며, 이중 생활숙박이 4.3%로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지난 5년 동안 전남의 객실수는 연평균 0.4% 증가해왔고, 생활숙박은 연평균 9.7% 증가해왔습니다.
2024년 전남의 객실수는 전국 756,965실의 6.5%였고, 이중 여관이 52.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④ 평균객실수*
2024년 전남의 업소당 평균객실수는 10실로 전국 평균의 77.2% 수준이었고, 지난 5년 동안 연평균 1.2% 감소해왔습니다. 전남은 다른 지역에 비해 영세화가 심화된 숙박시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⑤ 판매가능객실수*
2024년 전남의 판매가능객실수는 총 17,741천실로 2023년 대비 1.2% 증가했으며, 이중 도시민박이 36.6%로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지난 5년 동안 전남 전체로 연평균 1.0% 증가해왔고, 도시민박은 연평균 6.1% 증가해왔습니다.
2024년 전남의 판매가능객실수는 전국 268,936천실의 6.6%였고, 여관이 53.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⑥ 평균영업일수*
2024년 전남의 업소당 평균영업일수는 359일로 전국 평균의 100.9% 수준이었습니다. 이는 전국 평균과 유사한 수준으로, 개폐업률이 전국 평균 수준임을 의미합니다. 전남은 공급의 단기적 안정성이 양호한 숙박시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수요
2024년 전남은 전국 판매 물량의 6.3%를 차지했고, 이중 여관이 61.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출신 및 목적별로는 내국인 관광 판매 물량이 7.5%로 가장 크게 증가했습니다. 실당숙박객수는 전국 평균의 110.2%로 소규모 단체 숙박객이 수요의 주축을 형성했고, 객실가동률은 62.9%로 전국 평균의 94.7%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26,298
① 출신 및 목적별 숙박객수*
2024년 전남 숙박객은 총 26,298천명으로 2023년 대비 2.6% 증가했으며, 내국인 관광 숙박객이 2.9%로 가장 크게 증가했습니다. 지난 5년 동안 전남 숙박객은 연평균 9.9% 증가해왔고, 내국인 관광 숙박객은 연평균 10.6% 증가해왔습니다.
2024년 전남 숙박객은 전국 381,754천명의 6.9%였고, 이중 내국인 관광 숙박객이 96.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26,298
② 업소 유형별 숙박객수*
2024년 전남에서는 도시민박 숙박객이 37.8%로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고, 여인숙 숙박객이 4.1%로 가장 큰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지난 5년 동안 도시민박 숙박객은 연평균 17.5% 증가해왔고, 여인숙 숙박객은 연평균 1.3% 증가해왔습니다.
2024년 전남에서는 여관 숙박객이 61.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농어촌민박 숙박객이 14.2%로 뒤를 이었습니다.
③ 실당숙박객수*
2024년 전남의 실당숙박객은 2.4명으로 전국 평균의 110.2% 수준이었습니다. 이는 전국 평균을 소폭 상회하는 수준으로, 가족 단위와 같은 소규모 단체 숙박객이 주축 수요를 형성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즉, 전남은 수요의 계절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는 숙박시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1,157
④ 출신 및 목적별 판매객실수*
2024년 전남에서는 총 11,157천실이 판매되어 2023년 대비 7.3% 증가했으며, 내국인 관광 물량이 7.5%로 가장 크게 증가했습니다. 지난 5년 동안 전남 전체로 연평균 10.4% 증가해왔고, 내국인 관광 물량은 연평균 10.7% 증가해왔습니다.
2024년 전남 판매 물량은 전국 178,497천실의 6.3%였고, 내국인 관광 물량이 98.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11,157
⑤ 업소 유형별 판매객실수*
2024년 전남에서는 도시민박 판매객실수가 35.8%로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고, 여인숙이 1.0%로 가장 작은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지난 5년 동안 도시민박 판매객실수는 연평균 16.1% 증가해왔고, 여인숙의 경우 연평균 5.5% 증가해왔습니다.
2024년 전남에서는 여관 판매 물량이 61.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농어촌민박이 13.8%로 뒤를 이었습니다.
⑥ 객실가동률*
2024년 전남의 객실가동률은 62.9%로 2023년 대비 6.0% 증가했고, 5.1% 증가한 전국 평균의 94.7%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유형별로 보면 여관이 73.1%로 가장 높은 객실가동률을 보였습니다.
3. 가격
2024년 전남은 전국 객실매출의 8.5%를 차지했고, 이중 여관이 65.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명목 가격인 ADR은 전국 평균의 135.4%인 151,655원이었고, 호스텔에서 185,401원으로 가장 높았습니다. 실질 가격인 RevPAR는 전국 평균의 128.3%인 95,370원이었고, 휴양콘도에서 122,872원으로 가장 높았습니다.
① 객실매출
2024년 전남의 객실매출은 총 1,691,990백만원으로 2023년 대비 13.4% 증가했으며, 이중 도시민박이 54.1%로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지난 5년 동안 전남 전체로 연평균 27.7% 증가해왔고, 도시민박은 연평균 42.6% 증가해왔습니다.
2024년 전남의 객실매출은 전국 19,988,062백만원의 8.5%였고, 여관이 65.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② ADR*
2024년 전남의 ADR은 151,655원으로 2023년 대비 5.7% 증가했고, 전국 평균의 135.4%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유형별로는 호스텔에서 185,401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여인숙에서 70,509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습니다.
지난 5년 동안 22.8%의 변동성을 보인 전남의 ADR은 12.5%의 변동성을 보인 전국 평균보다 낮은 안정성을 보였습니다.
③ RevPAR*
2024년 전남의 RevPAR는 95,370원으로 2023년 대비 12.1% 증가했고, 전국 평균의 128.3%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유형별로는 휴양콘도에서 122,872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기타숙박에서 30,848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습니다.
2024년 ADR이 전국 평균 대비 135.4% 수준을 기록하면서, RevPAR는 전국 평균 대비 128.3%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4. 결론
기회 요인: 투자의 경우 규모가 영세하고 판매 실적이 저조한 농어촌민박의 리모델링 및 클러스터링을 통한 실적 개선의 기회가 존재하며, 운영의 경우 대규모 단체 수요 비중이 큰 가족호텔의 수요 구성 다변화를 통한 객실가동률 개선 기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위협 요인: 투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노후하고 판매 실적이 저조한 가족호텔의 부실화 위험이 존재하며, 운영의 경우 코로나 이후 내국인 수요 회복이 제한적인 반면 외국인 수요 비중의 확대 추세를 보인 도시민박의 변동성 증가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지역명을 클릭하면, 17개 시도 단위 보고서를 개별적으로 열람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대시보드 2024가 전남 숙박시장의 모든 것을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 주석
- 평균연령 = 연령 합계 ÷ 업소수. 특정 지역, 유형 및 경쟁업소들의 연령 합계를 업소수로 나누어 공급의 장기적 안정성 측정. 업소 생애주기가 길수록 평균연령이 높음.
- 평균객실수 = 객실수 합계 ÷ 업소수. 특정 지역, 유형 및 경쟁업소들의 객실수 합계를 업소수로 나누어 해당 그룹에 포함되는 숙박업소의 영세성 측정.
- 판매가능객실수 = 객실수 × 영업일수. 통상 하루 단위로 판매되는 숙박상품의 공급 물량.
- 평균영업일수 = 영업일수 합계 ÷ 업소수 = 판매가능객실수 ÷ 객실수. 특정 지역, 유형 및 경쟁업소들의 영업일수 합계를 업소수로 나누어 공급의 단기적 안정성 측정. 개폐업이 많을수록 평균영업일수가 짧음.
- 숙박객수: 통상 하루 단위로 판매되는 숙박상품의 수요 물량. 2명이 1개의 객실에 1일 동안 투숙하거나, 1명이 1개의 객실에 2일 동안 투숙하는 경우, 숙박객수는 모두 2명.
- 실당숙박객수 = 숙박객수 ÷ 판매객실수. 특정 지역, 유형 및 경쟁업소들의 숙박객수 합계를 판매객실수 합계로 나누어 수요 구성 추정. 위 숙박객수 사례에서 실당숙박객수는 각각 2명 및 1명.
- 판매객실수: 통상 하루 단위로 판매되는 숙박상품의 판매 물량. 위 숙박객수 사례에서 판매객실수는 각각 1실 및 2실.
- 객실가동률 = (판매객실수 ÷ 판매가능객실수) × 100. 숙박상품의 공급 물량 대비 판매 물량의 비율. 상품 경쟁력 및 가격 적정성 등에 대한 측정 지표.
- ADR = 객실매출 ÷ 판매객실수. 통상 하루 단위로 판매되는 숙박상품의 명목 가격.
- RevPAR = 객실매출 ÷ 판매가능객실수 = ADR × 객실가동률. 통상 하루 단위로 판매되는 숙박상품의 실질 가격.
- 변동성 = (표준편차 ÷ 평균) × 100. 특정 기간 해당 지표의 변동성을 일률적으로 측정 하기 위한 지표의 하나.
* 자료출처
- 통계청 (KOSIS): 면적, 인구, 지역내총생산.
- 로빈 데이터베이스: 업소수, 업소연령, 객실수, 판매가능객실수, 숙박객수, 판매객실수, 객실매출.
© Lobin Co. All rights reserved.